728x90
반응형
그동안 사용해왔던 공인인증서가 폐지되면서
이제 사용자들은 어떤 인증서를 골라 써야 하는지가 고민입니다.

공인인증서가 폐지됐다고 해서
당장 큰 혼란은 없습니다.
원래 사용하던 공인인증서를
유효기간까지는 그대로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간이 곧 만료된다면 어떤 인증 방식을 택할 건지 수많은 민간 인증서 사이에서 고민을 시작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시중은행들은 자체 인증서비스를 개발했습니다.
인터넷 뱅킹 사이트에 들어가면, 비대면 본인 확인을 거쳐 발급해주는 겁니다.
주거래 은행만 이용한다면 편리하지만, 여러 은행을 이용한다면 은행별로 인증해야 해 번거롭습니다.
금융결제원과 은행연합회가 공동 개발한 금융인증서는 범용이긴 하지만,
최초 발급 절차가 기존 공인인증서처럼 까다롭습니다.
이럴 경우 IT 기업들의 인증서로 갈아타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동통신 3사의 '패스'는 통신사가 가지고 있는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비밀번호만 입력하면 됩니다.
카카오와 네이버도 휴대전화나 생체 인증만으로 발급해줍니다.
제휴한 은행이라면 모두 이용 가능해서 호환성도 좋습니다.
너무 간편해서 보안에는 문제가 없을까 싶은데, 정부는 인증기관 평가를 엄격하게 하고 있다고 공언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invest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사임당 라이브,너나위 영끌하지마라, 내집마련은 필수지만 내가 감당할 수준이어야 한다 (1) | 2020.12.23 |
---|---|
하나투어, 2021 해외여행 상품 출시, 현지 격리 없는 해외 여행지 先 대상 (0) | 2020.12.14 |
코로나 증시·부동산 상승, 실물경제는 침체, 자산양극화 우려, 코로나 이후 경기는 어떻게될까? (0) | 2020.12.11 |
연말정산 미리 준비하기, 연금저축 추가납입, 계부계모 부양공제, 보청기 안경 교복 등 영수증 미리 챙겨둬야 (0) | 2020.12.10 |
계좌번호 착각해 잘못 보낸 돈 돌려받기 쉬워진다, 예금자보호법 개정안 국회통과, 내년 7월부터 예금보험공사에 반환지원 신청가능, (0) | 2020.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