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 얼굴로 구워삶는 기술
the little book of yes 세상에서 가장 짧고 쉬운 20가지 심리법칙
인간은 작은 것에 흔들리도록 설계되었다
로버트 치알디니 외
안녕하세요
꿈꾸는 전업주부입니다 :)
오늘은 설득의 심리학으로 유명한 로버트 치알디니의 책 읽어보았어요~~
기분좋은 선물의 법칙
한 연구기관에서 결혼한 부부들을 대상으로 결혼 선물에관한 조사를 진행했다. 어떤 부부에게는 지인이나 친구가 미리 작성해둔 목록에서 골라 선물을 해준 경험을 생각해보게했고 어떤 부부에게는 목록에 없던 선물을 주었던 경험을 생각해보도록했다.
조사대상자들이 받은 선물의 금전적가치는 대략 11만원정도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선물을 준 사람들은 받고싶은 목록에 있건없건 상관없이 선물을 고마워할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결혼 선물 받은 부부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받고싶은 선물 목록에 없는 선물을 받았을 때보다는 목록에있는 선물을 받았을때 훨씬 더 고마워했다.
맥락이 다른 생일선물에서도 주는 사람은 받는 사람이 그 선물을 원했는지 아닌지 여부가 선물을 받았을 때의 기쁨과 고마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 사람들은 자신이 받고 싶다고말했던 선물을 받았을때 훨씬 더 행복해하고 고마워한다.
누군가를 위한 선물을 고를 때는 그사람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확인해서, 주는 사람이나 받는사람 모두 기쁜 선물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한 연구에서 연구자들이 실험 참가자들에게 두가지선물을주었다.
하나는 코트치고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울코트(8만원)였고 다른 하나는 스카프치고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다소 비싼(7만)정도 제품이었는데 선물을 받은 참가자들은 돈으로만 따지자면 울코트가 더 비쌌지만 스카프를 준 사람이 더 인심이 후하다고 평가했다. 가족이나 친구에게 사려깊고 배려있는 선물을 주고싶다면 그러면서 은밀히 돈도 아끼고싶다면 가격대가 낮은 제품군 중에서 고가의 선물을 구매하는 것이 낫다. 이런 선물이 나를 인심이 후한 사람으로 생각하게 한다. 저렴한 선물이라는 꼬리표를 없앨수도 있다는 점도 중요하다.
분명한 이유가 마음을 움직인다-왜냐하면 전략
1970년대 하버드대 엘렌랭거 교수의 실험
1) 복사기앞에 줄서있는 사람들 중-실례합니다만, 제가 5장만 먼저 복사를 하려고하는데 먼저해도 될까요?
10명중6명양보-일단 부탁하자 거절은 생각보다 어렵다
2) 실례합니다만, 제가 5장만 먼저 복사를 해도 될까요? 왜냐하면 제가 지금 굉장히 급한 상황이라서요
94%사람들이 양보했다.
3) 실례합니다만, 제가 5장만 먼저 복사를 해도 될까요? 왜냐하면 제가 복사를 해야하거든요.
93%사람들이 양보했다.
실제적인 이유나 도움되는 정보아닌 단순한 이유'왜냐하면' 만으로도 긍정적인 효과
소소한 부분에 적용가능, 복사장수를 20장으로 올렸을때는 거절횟수 증가,
부탁을하거나 제안을하거나 아이디어를 들려줄 때 상대에게 긍정적 답변을 듣고싶다면 강력한 이유를 반드시 대는 것이 좋다. 그 이유가 명확하지 않더라도. 아이들에게 방치우라거나 숙제하라거나 배우자에게 재활용쓰레기 버리라고 할때나 설거지 하라고 할 때 좋은 방법은 '왜냐하면'을 덧붙이는 것이다.
순서와 합격의 상관관계-비교대상의 유무와 순서는 아이디어나 요구의 가치만큼 중요할 수 있다.
면접, 오디션 등에서 첫번째보다 마지막이 유리하다.
서너명의 후보자들이 경쟁해야한다면 선택하는 심사관입장에서 첫 후보자에게 엄격한 경우가 많다. 첫후보자에게 너무높은 점수를주면 뒤 후보자들에게 높은 점수를 줄수있는 여지가 별로남지 않기에,
제안이나 요구사항을 준비할 때 도움이될만한 비교자료도 함께 준비하도록한다.
설득하고자하는 대상이 여러분의 제안을 누구와 혹은 무엇과 비교할지 반드시 염두에 두고 그보다 더 솔깃한 제안을 하도록 노력하라.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이 지나간 자리 (1999) 영화 추천 일상이 특별하게 느껴지는 (0) | 2022.05.12 |
---|---|
집콕장난감 포켓몬 피큐어 144피스 14000원에 득템!!! (0) | 2021.04.17 |
짧고 굵게 일합니다, 곤도마리에, 스콧 소넨샤인 (0) | 2021.04.17 |
말에도 적당한 거리가 필요합니다, 다니하라 마코토 (0) | 2021.04.17 |
나폴레온힐의 성공철학 (0) | 2021.04.17 |